<p></p><br /><br />전국에 있는 전투함과 잠수함에서 근무하는 장병은 배 안에서 나오지 말고, 대기하라 해군이 난데없이 <br>이런 지침을 내렸습니다. <br><br>채널 A가 취재해 봤더니 해군 한 명이 이동자제 지침을 어기고 확진자와 접촉한 게 발단이 됐습니다. <br>하지만, 군의관들은 오히려 이런 '함상 대기'가 더 위험하다며 반발하고 있습니다. <br><br>백승우 기자의 단독 보돕니다. <br><br>[리포트]<br>해군은 오늘 코로나19 확산을 막으려고 '영내 근무' 지침을 내렸습니다. <br><br>전국에 있는 전투함과 잠수함 등 함정 150여 척에서 근무 중인 해군 간부와 장병 전원은 내일부터 함정 안에서 대기해야 합니다. <br><br>천왕봉함에서 근무 중인 A 중사가 최근 코로나19 확진자와 접촉한 사실이 확인됐기 때문입니다. <br><br>채널A 취재 결과, A 중사는 지난달 22일 '숙소 외 이동 자제' 지침을 어기고 경남 진해에서 창녕으로 이동했습니다. <br> <br>창녕에서 만난 지인은 코로나19 확진 판정을 받았습니다. <br><br>이후 해군은 코로나19 음성 판정을 받은 A 중사를 격리 조치하고 함정 근무자 전원을 '함상 대기'시킨 겁니다. <br> <br>이에 대해 해군 함정에서 근무 중인 군의관 가운데 대다수가 "해군의 결정이 성급하다"며 대한의사협회에 우려를 표한 것으로 확인됐습니다. <br><br>"크루즈선의 10분의 1 크기인 함정에서 3백 명 가까이 장시간 생활하는 건 매우 위험하다"며 "단 1명의 <br>코로나19 무증상자나 잠복기 장병이 있으면 함정은 사실상 배양접시가 될 것"이라고 주장했습니다 <br><br>[박종혁 / 대한의사협회 대변인] <br>"대단히 위험한 판단입니다. 현장에 있는 해군 군의관들이나 중대본에 상의를 해서 결정을 내려야 할 문제로 보여요." <br> <br>대한의사협회는 '함상 대기' 조치를 재고해달라고 내일 해군 작전사령부에 권고하기로 했습니다. <br><br>이에 대해 해군은 “외부에서의 감염요인을 차단하려는 최선의 조치”라며 “대적 상황에서 전투준비 태세를 유지하기 위한 목적”이라고 설명했습니다.<br> <br>채널A 뉴스 백승우입니다. <br> <br>strip@donga.com <br>영상편집 : 손진석<br><br>